IT 용어 및 관련 사이트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는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약자로 비지니스 상의 모든 요소들을 통합 관리하는 비지니스 시스템을 뜻한다. 곧 생산, 제조, 구매, 영업, 마케팅, 공급자와의 거래, 고객 서비스 제공, 재고 관리 등 주요 프로세스를 돕는 여러 모듈(Module)로 구성된 통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ERP의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대게 ERP 시스템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데이터를 계층구조가 아닌 단순한 표(table)로 표현하는 형식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통합된 시스템의 형태이다.
ERP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이나 사업체인 '고객'이 있다면 ERP 시스템을 구축해주는 회사는 고객 회사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사용자 교육과 훈련, 새로운 작업절차의 이해 등의 구축 단계를 이행한다.
이런 ERP 아웃소싱(Outsourcing)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ERP 패키지에는 SAP R/3, 오라클 Application 등이 있고 국내 패키지로는 삼성 SDS의 Uni ERP, 한국기업전산원의 탑 ERP 등이 있다.
관련 사이트
- SAP KOREA
비즈니스 솔루션인 mySAP 비즈니스 스위트를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운영체제 및 하드웨어를 지원하는 SAP KOREA의 사이트.
- 한국 오라클
ERP를 포함한 시스템 통합(SI:System Integration)에 관한 정보가 나와 있다.
- Datamation's ERP Section
DAtamation의 ERP 관련 기사와 칼럼이 수록돼있다.
- ERP의 개념과 관련 소프트웨어 패키지
ERP 개념과 ERP용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에 관한 정보가 나와있다.
- 삼성SDS의 UniERP
삼성SDS UniERP에 관한 소개와 ERP전반에 대한 개념이 나와있다.
- LG CNS의 ERP
LG CNS의 ERP 관련 홈페이지.
스파이웨어 (Spyware)
스파이웨어(Spyware)는 스파이(Spy)와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미국의 인터넷 광고전문회사인 라디에이트(Radiate)에서 개인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기 위해 처음 개발했다. 사용자의 컴퓨터에 번호를 매겨 몇 명의 사용자가 광고를 보고 있는지를 알기 위한 단순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용자 이름은 물론 IP주소와 즐겨찾는 URL, 개인 아이디, 패스워드, 심지어는 신용카드 번호까지 알아낼 수 있어 악의적으로 사용될 소지가 많다. 이 때문에 최근 스파이웨어는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몰래 숨어들어가 중요한 개인정보를 빼가는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단어로 쓰이고 있다.
이는 대개 인터넷이나 PC통신에서 무료로 공개되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때 함께 설치되는데 이런 특성 때문에 목마 속에 군사를 숨긴채 몰래 잠입한 '트로이의 목마'에 비교되기도 한다.
가끔 컴퓨터를 사용하다 자신이 설정해놓은 기본 홈페이지 구성이 바뀌어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기도 하는데 이처럼 스파이웨어는 사용자의 기본 설정을 마음대로 바꾸는 등컴퓨터 시스템 자체에 관한 문제도 일으킨다.
스파이 웨어는 컴퓨터 Memory Resource를 이용해 고객의 정보를 빼내고 얻은 정보를 Spyware Base로 보낼 때 광대역을 손상시켜 각종 시스템 충돌을 일으킨다.
스파이웨어는 Keystroke(키 사용흔적)을 모니터하고 하드 드라이브의 파일을 스캔하며 메신저 프로그램이나 워드 프로세서 같은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기웃거리기도 한다.
또한 다른 스파이 웨어 프로그램을 설치하며 쿠키(Cookies)를 읽고 웹 브라우저 상의 기본 홈페이지를 바꾸며 끊임없이 정보를 광고나 마케팅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Spyware Base로 보낸다.
앞서 언급했듯 스파이 웨어는 시스템적 문제를 일으킬 뿐 아니라 비밀리에 빼낸 고객의 정보를 도용하는 것에서 사생활 침해와 웹 상의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관련 사이트
- 다잡아 다운로드
인터넷 서핑시 알게 모르게 설치되는 악성 코드 프로그램을 제거하는 프로그램인 다잡아 AD-Spider를 다운 받을 수 있다.
- 스파이 스위퍼
애드웨어, 트로이목마, 시스템 감시 프로그램 같은 스파이웨어 제거, 실시간 보안 프로그램.
- Inside Spyware
내 컴퓨터 안 스파이웨어 찾기,제거하기,예방하기. 이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 PC Housekeeping
PC를 스파이 웨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Spychecker
천 여개의 스파이웨어 리스트를 정리해놓았다.
- The Big Lie about Spyware and Adware
스파이웨어와 애드웨어(Adware)를 비교한 칼럼이다.
- 확산되는 스파이 웨어
PC설정 몰래 바꾸는 '스파이웨어'가 확산돼 포털.백신 없체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Ubiquitous Computing)
물이나 공기처럼 시공을 초월해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인 유비쿼터스(Ubiquitous). 유비쿼터스(Ubiquitous Computing)은 사용자가 컴퓨터나 컴퓨터 칩이 탑재된 장치를 시공간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한다.
즉 컴퓨터 칩이 탑재된 각종 장치들(Devices)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이를테면 컴퓨터 칩을 자동차, 냉장고, 안경, 시계 등 일상 생활의 다양한 기기나 사물에 넣어 네트워크를 이루고 커뮤니케이션이 가능케하는 것이다.
유비쿼터스화가 이뤄지면 컴퓨터를 마치 시계처럼 손에 차고 등산을 하며 산 정상에서도 채팅을 즐길 수 있는 등 시공간적 제약을 상당히 탈피하게 된다.
이는 무선 컴퓨터와 결합한 현재의 네트워크 기술이 상당한 진보를 거뒀기 때문에 가능한데 무선 인터넷, 초소형 크기의 컴퓨터, 인공지능 등의 기술이 그 예다. 하지만 이것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광대역 통신과 컨버전스(Convergence) 기술의 일반화, 정보기술 기기의 저가격화 등 정보기술의 고도화가 전제돼야 한다.
관련 사이트
- [김지현의 디지털 세상] e-비즈니스 다음은 u-비즈니스
유비쿼터스가 우리에게 주는 혜택은 무엇이며 유비쿼터스 환경 내에서의 비즈니스 전망에 대해 알 수 있다.
- The Pervasive Computing Era An article from softwaremag.com.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 어느 영역까지 확장될 것인가?
- Ubiquitous Wireless Mobile
유비쿼터스 모바일 무선기술 관련 정보 공유 사이트.
-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의 생활 모습
유비쿼터스 시대의 생활 모습을 서사해놓고 있다.
- u-코리아가 좋은 이유
u-Korea, 유비쿼터스 한국이 구축될 때의 장점과 향후 전망에 관한 칼럼이다.
P2P (Peer To Peer Architecture)
Peer TO Peer architecture는 보통 간단하게 Peer to peer 혹은 P2P로 줄여부른다. 이를 직역하면 동등 계층 통신이 되는데 이는 네트워크에서 연결된 컴퓨터들이 동등한 능력과 책임을 지니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다른 프로그램에게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그 요청에 대해 응답을 해주는 서버의 관계로 이루어진 client/Server 관계와는 다르다. P2P는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양의 정보가 오고갈 때는 과부하가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관련 사이트
- Peer-to-Peer Networking Resources
윈도우상에서 P2P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다.
- Peer-to-Peer Communications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P2P 쓰임에 대해 알 수 있다.
- Yahoo's Peer-to-Peer Page
야후 사이트의 P2P 기술에 관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페이지
- What Network Do You Need?
각기 다른 상황에서 어떤 네트워크 타입이 가능한지를 알려주는 사이트
- The Power of Peer-to-Peer
P2P 방식의 네트워크를 통해 얻어낼 수 있는 유용성을 알 수 있다.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는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컴퓨터간 원활한 데이터 전달을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표준 규약이다. Network을 모두 7 계층으로 나누고 각 계층의 표준을 정했다.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일 상단의 응용 계층에서 제일 하단의 물리적 계층으로 데이터가 이동한 뒤 다시 계층을 거슬러 올라가는 식으로 정보 교환이 진행된다.
OSI 모델 제정 초기에는 생산자들 대부분 한 두 형태의 OSI 모델에 동의했다. 하지만 이후 각 생산자들에게 맞춰진 특성화된 OSI 모델이 늘어남에 따라 e-mail과 directory 관련 OSI-compliant X.400 and X.500을 제외하고는 표준화된 OSI 모델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TCP/IP 규약과 같이 7 계층인 OSI 계층을 한 두 개 통합하여 4 계층의 표준 규약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OSI는 또한 OSI 참조(Reference) 모델이나 OSI 모델이라고 언급되기도 한다
참조 : OSI는 Open Source Intiative의 약자이기도 하다.
OSI 계층 모델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
관련 사이트
- [희세지재의 네트워크/스토리지:1회] 다시 정리하는 네트워크 기본 개념(상)
코리아인터넷닷컴의 'Tech'채널에서 연재된 네트워크와 관련한 연재 강의다. 네트워크 이론의 기본개념인 OSI 계층 모델을 각 계층별로 알기 쉽게 설명해놓았다.
- [희세지재의 네트워크/스토리지:2회] 다시 정리하는 네트워크 기본 개념(하)-1
인터넷에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개념을 OSI 계층 모델과 비교하여 쉽고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 [희세지재의 네트워크/스토리지:2회] 다시 정리하는 네트워크 기본 개념(하)-2
TCP/IP 각 계층별 역할을 OSI 계층 모델의 각 계층별 역할과 비교하여 알기 쉽고 명확하게 강의하고 있다.
- 국제표준화기구 OSI 표준규약 페이지(ISO OSI standards page)
참조 번호를 통해 OSI 표준에 관한 리스트를 제공한다. 필요한 표준을 검색해 볼 수는 있으나 다운로드 받을 수는 없다.
- OSI 네트워크 계층(OSI: The Network Layer)
Cisco사 사이트는 OSI 모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에 관한 개괄정보와 Cisco사의 OSI 모델 적용 사례도 볼 수 있다.
- OSI의 이해(Understanding OSI)
OSI가 7 계층으로 이뤄지게 된 이유, 컴퓨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규칙을 규정하는 것에 있어 OSI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
- OSI 7계층과 DNS
Naver의 오픈 백과사전은 OSI 각 계층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제공하고 있다.
- OSI 7계층과 TCP/IP 장단점 비교
Naver의 지식in에서 OSI 7 계층과 TCP/IP 4 계층의 장단점에 대해 두 표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설명해 놓고 있다.
- 양대운의 네트워크
OSI 7 계층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놓고 있다.
- 고명신의 네트워크 컴퓨터 나라
OSI 7 계층에 대한 설명이 그림과 함께 제공되고 있다.
- OSI 통신 구조에서의 네트워크 안전체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전문 과학기술자료이다. 다양한 정보 통신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안전체제 요구가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아주대학교에서 OSI 통신 구조에서의 네트워크 안전체제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OSI 계층 모델과 관련한 통신 안전 체제에 대해 설명돼있다.
ISP
ISP는 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을 의미한다. 사용자들은 한 달 단위로 사용료를 지불하고, ISP 업체들로부터 소프트웨어, ID, 비밀번호, 접속 전화 번호를 제공 받는다. 제공 받은 정보와 설치된 모뎀과 이용하여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월드 와이드 웹(the World Wide Web)과 유즈넷(USENET)을 브라우즈(browse)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메일(e-mail)을 서로 주고 받는 것도 가능하다.
ISP 업체들은 개인뿐만 아니라, 큰 회사들을 상대로 회사 네트워크에서 인터넷으로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다. 그리고 ISP들 간에는 네트워크 접근점(Network Access Points : NAPs)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ISP는 종종 IAPs(Internet Access Providers)라고 부르기도 한다.
관련 사이트
- ISP에 관련된 FAQ
ISP 업체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다루고 있는 주요 주제들로는 장비, 요금 청구, 기술적인 문제, 용어, 마케팅 정보 등이다.
- ISP 리소스
Internet.com 사이트에 있는 ISP 리소스 채널.
- ISP업체들의 리스트
'The list’ 사이트의 데이터 베이스는 전 세계에 퍼져 있는 3,000개 이상의ISP업체들에 대한 정보들을 가지고 있다. ISP 업체의 이름이나 도메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ISP업체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카테고리를 통해 가장 가까운 위치의 업체들의 검색도 가능하다.
- ISP 검색 엔진
미국과 캐나다에 위치한 4000개 이상의 ISP 업체들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지역 번호나 모뎀 속도들을 이용하여 ISP들을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그것들의 사용료도 비교할 수 있다.
- ISP 뉴스
InternetNews.com 사이트로부터 ISP에 관련된 뉴스와 칼럼들을 제공한다.
- Prodigy의 홈페이지
Prodigy가 제공하는 서비스, 툴, 자주 묻는 질문들의 링크를 포함하고 있다.
- Russ Haynal의 ISP
백본 맵(backbone maps), 인터넷 구조에 관련된 자료 등을 제공한다.
- 야후의 무료 이메일 제공 업체들 리스트
무료 이메일 사용을 제공하는 업체들에 관한 링크를 포함한다.
- 야후의 IAP페이지
IAPs에 대한 야후 디렉토리
'internet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관련 유명한 사이트 (0) | 2006.09.10 |
---|---|
소프트웨어개발 교육 강좌 개발자 디자인 이미지 와래즈 크랙 다운로드 동호회등 (0) | 2006.09.08 |
IT 뉴스 정보 H/W 정보 자료실 (0) | 2006.09.04 |
컴퓨터 리눅스 윈도우 정보 관련 사이트 (0) | 2006.09.04 |
컴퓨터 PDA 얼리어답터 사이트 (0) | 2006.09.04 |